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말리에서 개최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23번째 대회이다. 2002년 1월 19일부터 2월 13일까지 열렸으며, 카메룬이 결승전에서 세네갈을 승부차기 끝에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나이지리아는 3위를, 말리는 4위를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예선은 49개 팀이 참가하여 16개 본선 진출팀을 가리는 대회로, 200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8강 진출팀을 제외한 팀들은 예비 예선을 거쳐 조별 리그에 진출했고, 조별 리그에서는 각 조 1위 팀과 일부 2위 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 [국제 축구 대회 정보]에 관한 문서 | |
---|---|
대회 개요 | |
대회 명칭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2002 |
다른 명칭 | Coupe d'Afrique des Nations 2002 |
![]() | |
개최국 | 말리 |
개최 기간 | 2002년 1월 19일 – 2002년 2월 10일 |
참가 팀 수 | 16 |
경기장 수 | 6 |
도시 수 | 5 |
결과 | |
우승 | 카메룬 |
우승 횟수 | 4회 |
준우승 | 세네갈 |
3위 | 나이지리아 |
4위 | 말리 |
경기 수 | 32 |
총 득점 | 48 |
총 관중 | 570000 |
개인 수상 | |
최다 득점자 | 줄리어스 아가호와 (나이지리아) 파트리크 음보마 (카메룬) 살로몬 올렘베 (카메룬) |
득점 | 각 3골 |
최우수 선수 | 엘 하지 디우프 (세네갈) |
대회 기록 | |
이전 대회 | 2000 |
다음 대회 | 2004 |
2. 개최 도시 및 경기장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말리에서 개최되었다. 경기는 바마코를 포함한 5개 도시(케스, 몹티, 세구, 시카소)에서 열렸다. 특히 바마코에는 3월 26일 경기장과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두 곳이 사용되었다.
2. 1. 경기장 목록
도시 | 경기장 | 관중 수용 규모 |
---|---|---|
바마코 | 3월 26일 경기장 | 60,000 |
바마코 |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 30,000 |
케스 |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 | 15,000 |
몹티 | 바레마 보쿰 경기장 | 15,000 |
세구 | 아마르 다우 경기장 | 15,000 |
시카소 |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 | 15,000 |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개최는 1998년 2월 5일 부르키나파소 와가두구에서 열린 CAF 집행위원회 회의에서 말리로 결정되었다. 당시 알제리, 보츠와나, 이집트, 에티오피아가 말리와 함께 유치 경쟁을 벌였으며, 말리는 처음으로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을 개최하게 되었다.
3. 예선
개최국 말리와 전 대회 우승팀 카메룬을 제외한 14개 팀은 예선을 통해 본선에 진출했다.
3. 1. 본선 진출국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는 개최국 말리와 전 대회 우승국 카메룬을 포함하여 총 16개국이 진출하였다.
- '''굵은 글씨'''는 우승, ''기울임꼴''은 개최국.
- 템플릿을 제거하고, 국가대표팀은 형태로 링크를 수정함.
- 날짜 표기는 템플릿을 제거하고, 일반적인 날짜 형식으로 수정함.
4. 선수 명단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선수 명단 문서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5. 조별 리그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조별 리그는 16개 팀이 4개 조로 나뉘어 경기를 치렀다. 각 조의 상위 2개 팀이 8강 토너먼트에 진출했다.
조 | 팀 | 승점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
A조 | 나이지리아 | 7 | 3 | 2 | 1 | 0 | 2 | 0 | +2 |
말리 | 5 | 3 | 1 | 2 | 0 | 3 | 1 | +2 | |
라이베리아 | 2 | 3 | 0 | 2 | 1 | 3 | 4 | -1 | |
알제리 | 1 | 3 | 0 | 1 | 2 | 2 | 5 | -3 | |
B조 | 남아프리카 공화국 | 5 | 3 | 1 | 2 | 0 | 3 | 1 | +2 |
가나 | 5 | 3 | 1 | 2 | 0 | 2 | 1 | +1 | |
모로코 | 4 | 3 | 1 | 1 | 1 | 3 | 4 | -1 | |
부르키나파소 | 1 | 3 | 0 | 1 | 2 | 2 | 4 | -2 | |
C조 | 카메룬 | 9 | 3 | 3 | 0 | 0 | 5 | 0 | +5 |
콩고 민주 공화국 | 4 | 3 | 1 | 1 | 1 | 3 | 2 | +1 | |
토고 | 2 | 3 | 0 | 2 | 1 | 0 | 3 | -3 | |
코트디부아르 | 1 | 3 | 0 | 1 | 2 | 1 | 4 | -3 | |
D조 | 세네갈 | 7 | 3 | 2 | 1 | 0 | 2 | 0 | +2 |
이집트 | 6 | 3 | 2 | 0 | 1 | 3 | 2 | +1 | |
튀니지 | 2 | 3 | 0 | 2 | 1 | 0 | 1 | -1 | |
잠비아 | 1 | 3 | 0 | 1 | 2 | 1 | 3 | -2 |
5. 1. A조
일시 및 경기 | 팀 1 | 팀 2 | 득점 | |
---|---|---|---|---|
2002년 1월 19일 16:0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 50,000명 | 말리 | 1 - 1 | 라이베리아 | Seydou Keita|세이두 케이타영어 (87분) George Weah|조지 웨아영어 (45분) |
2002년 1월 21일 16:0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 10,000명 | 알제리 | 0 - 1 | 나이지리아 | Julius Aghahowa|줄리어스 아가호와영어 (43분) |
2002년 1월 24일 19:0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 50,000명 | 말리 | 0 - 0 | 나이지리아 | |
2002년 1월 25일 19:3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 4,000명 | 라이베리아 | 2 - 2 | 알제리 | Prince Daye|프린스 다예영어 (7분) Kelvin Sebwe|켈빈 세브웨영어 (72분) Nassim Akrour|나심 아크루르프랑스어 (45분) Nasreddine Kraouche|나스레딘 크라우체프랑스어 (90+1분) |
2002년 1월 28일 18:00 3월 26일 경기장 (바마코) 관중: 50,000명 | 말리 | 2 - 0 | 알제리 | Mamadou Bagayoko|마마두 바가요코프랑스어 (18분) Bassala Touré|바살라 투레프랑스어 (24분) |
2002년 1월 28일 18:00 바레마 보쿰 경기장 (몹티) 관중: 9,000명 | 라이베리아 | 0 - 1 | 나이지리아 | Julius Aghahowa|줄리어스 아가호와영어 (63분) |
5. 2. B조
- 2002년 1월 20일 19:30, 세구의 아마르 다우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부르키나파소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 12,000명, 주심: Falla Ndoye (세네갈))
- 2002년 1월 21일 16:00, 세구의 아마르 다우 경기장에서 열린 모로코와 가나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 4,000명, 주심: Domenico Messina (이탈리아))
- 2002년 1월 24일 16:00, 세구의 아마르 다우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가나의 경기는 0 – 0 무승부로 종료되었다. (관중: 5,000명, 주심: Mourad Daami (튀니지))
- 2002년 1월 26일 15:30, 세구의 아마르 다우 경기장에서 열린 부르키나파소와 모로코의 경기는 다가노 (58분)와 제루알리 (23분, 85분)의 득점으로 1-2로 모로코가 승리하였다. (관중: 6,000명, 주심: Lim Kee Chong (모리셔스))
- 2002년 1월 30일 16:00, 세구의 아마르 다우 경기장에서 열린 남아프리카 공화국과 모로코의 경기는 주마 (42분), 음고메니 (48분), 놈베테 (51분)와 벤마무드 (77분, 페널티킥)의 득점으로 3-1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승리하였다. (관중: 3,000명, 주심: Gamal Al-Ghandour (이집트))
- 2002년 1월 30일 16:00, 몹티의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에서 열린 부르키나파소와 가나의 경기는 A. 트라오레 (81분)와 보아케 (90분, 90+2분)의 득점으로 1-2로 가나가 승리하였다. (관중: 15,000명, 주심: Chukwudi Chukwujekwu (나이지리아))
5. 3. C조
일시 | 팀 1 | 결과 | 팀 2 | 비고 |
---|---|---|---|---|
2002년 1월 20일 17:30 | 카메룬 | 1 – 0 | 콩고 민주 공화국 | 음보마 파트리크 음보마프랑스어 (40분) |
2002년 1월 21일 18:00 | 토고 | 0 – 0 | 코트디부아르 | |
2002년 1월 25일 17:30 | 카메룬 | 1 – 0 | 코트디부아르 | 음보마 파트리크 음보마프랑스어 (85분) |
2002년 1월 26일 17:30 | 콩고 민주 공화국 | 0 – 0 | 토고 | |
2002년 1월 29일 16:00 | 카메룬 | 3 – 0 | 토고 | 메토모 루시앙 메토모프랑스어 (52분), 에토 사뮈엘 에토프랑스어 (80분), 올렘베 살로몽 올렘베프랑스어 (89분) |
2002년 1월 29일 16:00 | 콩고 민주 공화국 | 3 – 1 | 코트디부아르 | 유불라디오 이브 유불라디오프랑스어 (28분), 농다 샤바니 농다프랑스어 (66분), 키모토 파피 키모토프랑스어 (81분, 페널티킥) 트라오레 칸디아 트라오레프랑스어 (86분, 코트디부아르) |
- 모든 경기는 바벰바 트라오레 경기장에서 열렸다. 단, 콩고 민주 공화국과 코트디부아르의 경기는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에서 열렸다.
- 관중 수는 각각 15,000명(카메룬-콩고 민주 공화국, 토고-코트디부아르, 카메룬-코트디부아르), 7,000명(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6,000명(카메룬-토고), 12,000명(콩고 민주 공화국-코트디부아르)이었다.
- 주심 정보는 다음과 같다.
- 카메룬-콩고 민주 공화국: Coffi Codjia (베냉)
- 토고-코트디부아르: Chukwudi Chukwujekwu (나이지리아)
- 카메룬-코트디부아르: Gamal Al-Ghandour (이집트)
- 콩고 민주 공화국-토고: Tessema Hailemalak (에티오피아)
- 카메룬-토고: Petros Mathabela (남아프리카 공화국)
- 콩고 민주 공화국-코트디부아르: Felix Tangawarima (짐바브웨)
5. 4. D조
- 녹색으로 칠해진 국가는 8강(준준결승) 진출국이다.
2002년 1월 20일 | 이집트 0 - 1 세네갈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 디아타 |
2002년 1월 21일 | 잠비아 0 - 0 튀니지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 |
2002년 1월 25일 | 이집트 1 - 0 튀니지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 에맘 |
2002년 1월 26일 | 세네갈 1 - 0 잠비아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 카마라 |
2002년 1월 31일 | 이집트 2 - 1 잠비아 (모디보 케이타 경기장, 바마코) | |
2002년 1월 31일 | 세네갈 0 - 0 튀니지 (압둘라예 모코로 시소코 경기장, 케스) |
6. 결선 토너먼트
200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의 결선 토너먼트는 8강전, 준결승전, 3·4위전, 결승전으로 진행되었다.
8강전에서는 나이지리아가 가나를, 세네갈이 콩고 민주 공화국(1997년)을, 말리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을, 카메룬은 이집트를 각각 꺾고 준결승전에 진출했다. (8강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 8강전 === 에 있다.)
준결승전에서는 세네갈이 나이지리아를 연장전 끝에 꺾었고, 카메룬은 말리를 완파하며 결승전에 올랐다. (준결승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 준결승전 === 에 있다.)
2002년 2월 9일 열린 3·4위전에서는 나이지리아가 말리를 꺾고 3위를 차지했다. (3·4위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 3·4위전 === 에 있다.)
2002년 2월 10일 열린 결승전에서는 카메룬이 세네갈과 연장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승부차기에서 승리하며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 (결승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 결승전 === 에 있다.)
6. 1. 8강전
Dr. 쿨리발리디우프